abusesaffiliationarrow-downarrow-leftarrow-rightarrow-upattack-typeburgerchevron-downchevron-leftchevron-rightchevron-upClock iconclosedeletedevelopment-povertydiscriminationdollardownloademailenvironmentexternal-linkfacebookfiltergenderglobegroupshealthC4067174-3DD9-4B9E-AD64-284FDAAE6338@1xinformation-outlineinformationinstagraminvestment-trade-globalisationissueslabourlanguagesShapeCombined Shapeline, chart, up, arrow, graphLinkedInlocationmap-pinminusnewsorganisationotheroverviewpluspreviewArtboard 185profilerefreshIconnewssearchsecurityPathStock downStock steadyStock uptagticktooltiptwitteruniversalityweb

이 내용은 다음 언어로도 제공됩니다: English

기사

2025년 1월 6일

저자:
Eu Ko-eun, Labor Today

한국: 뒤처진 여성고용률, 일가정양립 부담문제 조명

“한국 여성고용률 OECD 31위, 20년간 하위권,” 2025년 1월 6일

Eu Ko-eun, Labor Today

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 같은 한국의 여성 고용지표가 지난 20년간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 하위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
… 한국의 OECD 순위를 살펴보면 여성 고용률은 2003년 27위(51.2%)에서 2023년 31위로 4계단 하락했다. 20년간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한 셈이다. .

… 특히 어린 자녀를 둔 여성의 고용률은 경제규모와 인구가 유사한 주요 선진국보다 더 낮았다.

한경협은 “우리나라는 육아·가사 부담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”며 “선진국 수준으로 여성 고용을 확대하려면 여성들이 일·가정 양립 부담을 덜고 경제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”고 주문했다.